안녕하세요, 조미료네입니다 :)
오늘은 TSLL 투자자라면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구조적 리스크와 특히 하락장에서의 취약성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.
요즘처럼 관세 이슈로 테슬라 주가가 요동치고,
곧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(현지 기준 4월 23일 예정)가 다가오고 있다면,
레버리지 ETF에 투자하신 분들은 더욱 민감하게 대응해야 합니다.
⚠️ TSLL, 왜 하락장에 특히 취약할까?
1. 일일 리밸런싱 방식 (Daily Reset, 2배 추종)
TSLL은 테슬라 주가의 일일 수익률을 2배로 추종하는 ETF입니다.
즉, 하루 단위로 수익률을 2배로 맞추기 위해 매일 리밸런싱을 합니다.
예시:
- 테슬라 -5% 하락 → TSLL 약 -10% 하락
- 다음날 테슬라 +5% 상승 → TSLL 약 +10% 상승이지만, 기준가가 달라져 원금 복구는 불완전
📌 핵심: 레버리지 효과는 하루 단위로만 유효하며, 연속된 등락에서는 손실이 누적됩니다.
2. 음의 복리 효과 (Negative Compounding)
TSLL처럼 레버리지 ETF는 주가가 등락을 반복하면 손실이 누적됩니다. 이를 "음의 복리 효과"라고 합니다.
예시:
- Day 1: 테슬라 -20% → TSLL 약 -40%
- Day 2: 테슬라 +20% → TSLL 약 +40%
→ 총 수익률: -40% 후 +40%는 원금 복구 불가능
→ 실제로는 총 수익률 약 -20% 수준
📌 상승과 하락이 번갈아 나타나는 장세일수록 TSLL 수익률은 악화됩니다.
3. 변동성이 높을수록 불리한 구조
TSLL은 테슬라 주가가 꾸준히 한 방향(특히 상승으로 움직일 때 가장 효율적으로 작동합니다.
하지만 다음과 같은 시기엔 구조적으로 취약합니다:
- 실적 발표 전후와 같은 초고변동성 구간
- 정책 이슈, 금리, 거시경제 불확실성 등 외부 변수 확대 구간
- 테슬라의 모멘텀 상실 구간
예상치보다 실적이 좋으면 급등 가능성도 있지만,
실적 부진이나 가이던스 하향 시엔 하락폭이 2배로 반영되므로 리스크가 큽니다.
레버리지는 그래서 적립식 투자나 장투가 아니라
단기 투자로 많이들 권하죠.
📌 테슬라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 요약
- 발표 예정일: 2025년 4월 23일 (화)
- 시장 컨센서스:
- EPS: $0.49
- 매출: 233억 달러
- 관전 포인트:
- FSD(완전자율주행) 수익 인식 여부
- 사이버트럭 생산/출하량
- AI 투자 방향 및 향후 가이던스
➡️ 핵심: 실적 발표는 방향성이 극단적으로 갈릴 수 있는 이벤트.
레버리지 ETF 보유자는 그 내용에 따라 그만큼 손익 모두 크게 확대됩니다.
“TSLL은 ‘방향성에 대한 강한 확신’이 있을 때만 효율적입니다만,
지금처럼 하락장 또는 고변동성 장세에서는 오히려 리스크 증폭 장치가 될 수 있습니다.”
참고하시어 성공적인 투자하시길 바랍니다!!
📌 함께 읽으면 좋은 글
👉 2025.04.01 - [📚 일상 속 꿀정보] - 레버리지 ETF 상장폐지 되나요? TSLL 투자자라면 꼭 알아야 할 진실 (ft, 음의복리)
레버리지 ETF 상장폐지 되나요? TSLL 투자자라면 꼭 알아야 할 진실 (ft, 음의복리)
요즘처럼 시장이 흔들릴 때,레버리지 ETF를 들고 있는 투자자라면 한 번쯤 고민해봤을 거예요.“이거... 너무 빠지면 상장폐지되는 거 아냐?”저도 TSLL 가지고 있어서, 최근에 그런 걱정을 많이
miryonae.tistory.com
📎 TSLL이 상장폐지될 가능성은 낮지만, 투자자라면 꼭 알아야 할 구조적 원리와 음의 복리 개념을 이해할 수 있어요.